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사이버전문사관의 산업계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16개 사이버보안 관련 기업과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이버전문사관제도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4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KISA는 2024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 국방부(장관 안규백)와 함께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이버전문사관 양성사업(이하, 사이버전문사관제도)’을 통해 사이버전문사관을 양성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사이버전문사관의 산업계 진출을 지원해 전문인력의 선순환을 추진하고, 사이버전문사관 제도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전문사관제도는 사이버 관련 특기를 부여받고 사이버 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우수인력을 양성하는 제도이다. 정보보호 분야의 대내외 활동과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후보생을 선발하며, 선발된 후보생은 2년간 특성화대학 내에서 일반전공 외 사이버 전문교육, 안보학 교육 등 정보보호 전문교육을 받은 후, 졸업 후 소위로 임관해 3년간 사이버작전 관련 부대에서 실전 임무를 수행한다.
이번 협약에는 ‘LG CNS, 롯데이노베이트, 메타넷티플랫폼, 소만사, 소프트캠프, 수산INT, 스틸리언, 아이시큐어, 안랩, 에프레인, 에프원시큐리티, 엔키화이트햇, 우리넷, 이글루코퍼레이션, 지니언스, 포유씨큐리티’ 국내 주요 IT·사이버보안 관련 기업 16곳이 참여했다.
본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기업은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이버전문사관 전역자에게 채용 가점 부여 등의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산업계는 첨단 보안기술, 국가 기반시설 보호, 글로벌 사이버 위협 대응 등의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실무형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ISA 이상중 원장은 “국가가 양성한 최정예 사이버 인재가 군 복무를 통해 체득한 사이버보안 역량을 산업계 경력으로 이어가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국익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KISA는 민간과 협력해 사이버 전문 인재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