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 금융투자교육원은 핀테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제12기 '서울 핀테크 아카데미'과정을 무료로 개설하고, 오는 6월 24일까지 교육생을 모집한다. 개강은 7월 4일(금)이다. '서울 핀테크 아카데미'과정은 핀테크 산업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서울시와 금융투자협회가 공동으로 개설하는 과정으로, 핀테크 분야 인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실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금융과 IT 지식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은 금융 및 핀테크 기업 재직자, 핀테크 분야에 관심 있는 대학(원)생, 취업준비생, 예비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핀테크 중심의 공통모듈과 금융업권(은행, 금융투자, 보험)별 심화 트랙으로 구성되어 업권별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ChatGPT, 인공지능 등 최근 핀테크 분야의 트렌드를 반영한 실무교육을 통해 핀테크 산업의 핵심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이러닝과 집합이 혼합된 BL(Blended Learning)방식으로 7월 4일부터 9월 6일까지 9주에 걸쳐 금융투자교육원(여의도 소재)에서 주 2일(금: 야간, 토: 주간) 교육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신
Npay가 기업 복지 포인트 영역까지 B2B 서비스를 적극 확대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폐쇄적인 ‘복지몰’ 한계를 허물고, 기업과 임직원의 니즈에 맞춰 Npay 간편결제가 가능한 모든 곳에서 복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Npay, 대표이사 박상진)가 기아㈜의 복지포인트 제도 운영사로 공식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Npay의 ‘확장형 복지 포인트’는 임직원들이 별도의 포인트 전환 절차 없이 Npay 간편결제 사용처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각 기업 별 방침에 따라 특정 사용처를 제한하거나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이번 기아㈜와의 제휴를 통해 국내에서 최초로 구축되었다. 임직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춰 향후 기아 임직원들에게 지급된 복지 포인트를 건강검진 예약서비스나 타 포인트로 전환할 수 있는 등, 제휴처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것 또한 장점이다. Npay는 기업의 복지 운영과 사용 편의성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임직원 전용 기업 복지 페이지와 전용 문의 채널 뿐 아니라, 기업 담당자가 포인트를 직접 지급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인 포인트 파트너센터(PPC: Point Partner Center)도 함께 오픈
빗썸이 SSG랜더스와 함께 유소년 야구단을 지원하는 팬 참여형 기부 캠페인 '빗썸 기부 챌린지'를 진행한다. 이번 '빗썸 기부 챌린지'는 지난해 은퇴를 선언하고 공식 은퇴식을 앞둔 추신수 선수(현 SSG랜더스 구단주 보좌역)의 노력과 열정을 기념하며 기획됐다. 오랜 시간 팬들과 야구를 위해 헌신해온 그의 열정을 유소년 야구를 향한 따뜻한 응원으로 이어간다는 취지다. 기부 챌린지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빗썸 회원 가입이 필요하다. 오는 23일까지 SSG랜더스 앱 내 공지사항에서 제공하는 쿠폰 코드를 확인한 후, 빗썸 앱 고객센터 메뉴에서 '이벤트 쿠폰'을 등록하면 참여할 수 있다. 빗썸 신규 가입 회원이라면 쿠폰 등록 시 유소년 야구 발전기금으로 3만 원의 기부금이 자동으로 적립되는 동시에, 동일한 금액의 빗썸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 웰컴 미션 보상 2만 원까지 받을 경우 최대 5만 원 상당의 리워드 수령이 가능하다. 빗썸 기존 회원도 기부에 동참할 수 있다. 선착순 3천 명까지 기부 쿠폰 발급이 가능하며, 해당 쿠폰 등록 시 1만 원의 기부금이 적립된다. 단, 쿠폰은 계정당 1회 등록 가능하고, 챌린지 참여를 위해서는 빗썸 회원가입 완료 및 고객확인(K
전 세계 최정상의 빅테크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서울메타위크 2025(Seoul Meta Week 2025)'가 오는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The Age of AI: Your AI, Your Business’를 주제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AI 활용 전략과 기술 진화를 집중 조명한다. 특히, 이번 ‘메타콘(METACON)’ 세션에는 삼성전자, 네이버 클라우드, LG AI연구원 등 한국을 대표하는 IT기업들의 주요 인사들이 발표자로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전자의 이보나 상무는, 삼성전자 DA사업부 CX인사이트 그룹을 이끌며,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디바이스간 연결 경험(MDE), 사용 경험 향상을 주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가전업계 최초로 제품의 AI기술과 제품 간 연결로 업그레이드되는 일상을 선보여 업계에 반향을 일으켰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정주환 이사는, 이사 및 에반젤리스트로 활동하며 하이퍼클로바X를 포함한 자사의 AI솔루션을 확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공공·민간 영역에서 기술과 비즈니스의 접점을 연결하며 생태계 확장과 사회적 기여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의
국내 대표 전문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대표 차명훈, 이성현)이 6월 4일(수) 오후 3시부터 12일(목) 오전 11시까지 테더(USDT) 거래 수수료율을 파격적으로 인하한다고 5일 밝혔다. 수수료율 인하 기간 중 USDT 거래 시, 메이커는 0%, 테이커는 0.01%로 인하된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단, 외부 서비스나 제휴사 연동을 통한 거래, 코인원 스마트 트레이딩을 통한 자동거래에는 0.2%의 기존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USDT 수수료율 인하를 기념해 ‘USDT 거래왕 랭킹전’도 2차례 진행한다. 대규모 상금을 두고 다른 참가자들과 USDT 거래량을 겨루는 콘텐츠로, 이벤트 코드(2506USDT)를 등록한 후 참여할 수 있다. 랭킹전 종료 시점 USDT 거래량 상위 100명에게 상금을 차등지급하며, 코인원 랭킹보드에서 참가자들의 순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총 2,000 USDT가 상금으로 걸린 1차 USDT 거래왕 랭킹전은 오는 6월 6일(금)까지 진행되며, 2차 랭킹전은 차주 중 진행 예정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코인원 홈페이지 및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코인원 이성현 공동대표는 “올 상반기 코인원에 보내주신 고객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원장 김현준, 이하 SS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정제영, 이하 KERIS)과 함께 병원, 대학,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실전형 보안 점검 프로그램인 ‘핵더챌린지 버그바운티 시즌1’의 참가자를 6월 9일(월)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버그바운티는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신고한 화이트해커 등에게 금전적 보상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신고포상제다. KISA는 조기 취약점 발견을 위해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다양한 형태의 버그바운티를 운영해 왔다. 올해부터 시즌제로 운영되는 ‘핵더챌린지 버그바운티 시즌1’은 SSIS, KERIS와 협력해 의료·교육 분야로 점검 대상을 확대했다. 향후에도 생활 밀착형 사이버 위협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산업계와 공공분야 등으로 참여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점검 대상 기관과 취약점을 발견할 개인 등을 모집한다. 우선, 점검 참여 대상인 병원, 대학, 기업에게는 발굴된 취약점을 조치할 수 있도록 무료 보안 컨설팅이 지원되어 침해사고를 예방하고 전반적인 보안 수준을 실질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실제 병원, 대학, 기업의 웹사이트,
삼성전자가 전력 공급 없이도 이미지를 화면에 띄워놓을 수 있는 디지털 광고판 ‘삼성 컬러 이페이퍼(Color E-Paper)’를 8일 글로벌 출시한다. ‘삼성 컬러 이페이퍼’는 디지털 종이에 잉크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의 초저전력 디스플레이로, 제품 혁신성을 인정받아 유럽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25’에서 ‘올해 최고의 제품상(Best of Show at ISE)’ 3관왕에 올랐다. 화면을 유지하는 동안의 소비전력은 0.00와트(W)이고, 화면 변경 시에도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대비 소모하는 전력이 현저히 낮아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번에 출시되는 모델(모델명:EM32DX)은 32형 사이즈 1종으로, QHD(2,560×1,440) 해상도와 16:9 화면비가 적용됐다. 종이처럼 얇은 초슬림 디자인으로 가장 얇은 부분은 8.6mm에 불과하다. 충전 타입의 착탈식 배터리를 적용했으며,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가 2.5kg에 불과해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다. ‘삼성 컬러 이페이퍼’는 함께 제공되는 거치용 악세서리를 활용해 벽이나 천장 레일 와이어에 걸 수 있고, 테이블 형태로도 설치 할 수 있어 다양한 상업 환경에 조화롭고 유연하게 적용된다. 이
토스(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 대표 이승건)가 지난 6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앨터스에서 첫 글로벌 채용 네트워킹 행사인 ‘토스 USA 밋업(Toss USA Meetup)’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실리콘밸리에서 활동 중인 엔지니어들을 초청해 진행했다. 이날 이승건 대표는 토스의 사업 비전과 엔지니어에게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소개했다. 현재 토스는 전사적으로 머신러닝(ML)과 인공지능(AI)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광고 및 커머스(Commerce) 분야를 시작으로 전사 서비스의 AI 기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엔지니어는 자율적인 실험 문화, 우수한 배포 시스템, 2,480만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2024년 12월 기준) 기반의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해 AI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행사가 열린 ‘토스 USA(Toss USA)’는 국내외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올해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토스의 글로벌 오피스다. 이곳에서 전 세계 엔지니어들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토스의 테크 역량을 소개하는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창발(Changbal), 한인정보
글로벌 블록체인 벤처캐피털(VC) 해시드벤처스(대표 김서준, 이하 해시드)가 일본 3대 금융 그룹 중 하나인 미쓰이스미토모 파이낸셜 그룹(SMFG)의 핵심 증권 계열사 SMBC 닛코 증권(이하 SMBC닛코)으로부터 ‘해시드 벤처펀드 III’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SMBC닛코 산하 신사업 부서인 닛코 오픈 이노베이션 랩(NOIL)을 통해 이뤄진 이번 투자는 일본의 전통 금융과 웹3 산업 간 협력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투자 배경에는 SMBC닛코의 웹3 및 블록체인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NOIL 내 웹3 사업을 추진 중인 펀더스톰(Funder Storm) 팀은 일본 문화재를 글로벌 NFT 프로젝트와 결합한 프루프오브재팬(Proof of Japan) 사업을 추진하는 동시에, 일본 웹3 산업의 환경 조성을 위한 교육 및 규칙 제정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 웹3 산업에 폭넓은 네트워크를 보유한 해시드와의 협력을 통해 강력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해시드는 서울을 비롯해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 뱅갈루루, 아부다비 등 글로벌 거점에 진출해 있으며, 에테나(Ethena), 월드코인
국내 전자결제 시장 선도 기업 KG이니시스(035600)는 글로벌 결제 기술 기업 비자(VISA)와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은 이선재 KG이니시스 대표, 패트릭 스토리(Patrick Storey) 비자코리아 사장 등 양사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중구 KG타워에서 진행됐다. 이번 업무협약은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글로벌 스탠다드화 및 KG이니시스와 비자의 사업영역 확장을 목표로 한다. 법무부에 따르면 외국인 입국자 수는 팬데믹 이후 지속 증가해 2024년 1,697만 명에 달했다. 그러나 해외 발급 카드로 결제가 가능한 온라인 가맹점은 극소수에 불과해, KG이니시스는 외국인도 국내 가맹점에서 해외카드로 쉽게 결제할 수 있도록 비자와 함께 해외카드 인증 보완 방식을 개발, 적용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보안 토큰으로 실물 카드번호 대체 ▲해외카드 기반 간편결제 서비스 클릭투페이(Click to Pay) 도입 ▲결제 시 본인인증을 요구하는 3DS(3-D Secure) 기능 지원 등을 협의 중이다. 결제장벽을 낮추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한 결제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이 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