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국내 대표 무전기 기업 KT파워텔을 매각한다. 매수 기업은 디지털 보안장비 제조 업체 ‘㈜아이디스’이다. KT와 ㈜아이디스는 3월말까지 KT파워텔 주주총회, 규제기관 승인 등을 마무리짓고 계약을 종결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KT는 지난 1월 11일 KT파워텔 매각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아이디스를 선정했으며 협상 절차를 거쳐 KT가 보유한 KT파워텔 지분 44.85% 전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구현모 대표는 지난 4일 ‘라이브 랜선 신년식’에서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을 강조했다. KT의 AI·Bigdata·Cloud 강점을 경쟁력으로 성장성이 큰 신사업에 도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KT파워텔 매각을 계기로 IT·통신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신성장 동력의 재원을 확보하여 금융, 미디어/콘텐츠 등 성장 사업 중심의 플랫폼 기업으로 KT그룹 포트폴리오를 재편할 계획이다. KT는 작년 10월 KTH와 KT엠하우스 간의 합병을 발표하며 KT그룹 ‘디지털 커머스 전문기업’ 출범을 통한 유통분야 사업역량 강화를 선언했다. 아이디스는 국내 최고 디지털 보안장비 업체로 ‘98년 DVR(Digital Video Rec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 미국, 홍콩 등 3개국에 상장한 ‘미래에셋 글로벌 BBIG ETF 시리즈’의 순자산이 10조원을 넘었다고 22일 밝혔다. 각 테마별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작년부터 순자산이 9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BBIG(BATTERY, BIO, INTERNET, GAME) ETF는 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산업 관련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이다. BBIG 산업은 국내의 경우 차별화된 성장 모멘텀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판 뉴딜의 수혜가 기대되는 분야다. 전세계적으로도 클라우드, 전기차, 이커머스 등 BBIG 관련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종가 기준 규모가 가장 큰 상품은 ‘LIT ETF(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로 규모가 3조원에 육박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맞춰 채굴 및 정제, 베터리 생산 등 리튬 싸이클에 투자해 2020년 수익률이 126%에 달한다. 이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CLOU ETF(Global X Cloud Computing ETF)’가 1.7조원으로 규모가 크다. 작년 수익률은 77%로, 전세계적으로
KB국민은행은 '청소년의 멘토 KB!'진로동아리 3기 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청소년의 멘토 KB!'진로동아리는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진로 및 직업분야에 대한 정보전달과 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학과 체험형 진로멘토링 사업이다. 이날 진로동아리 발표회에는 프로그램을 수료한 자율동아리 49개 팀 230여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해 전년도 활동 성과를 공유했으며 우수 활동팀에게는 장학금을 지원했다. 4차산업 동아리 이준우 학생은 “교과 시간에 배웠던 것을 진로동아리 활동을 통해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 며, “4차산업 시대를 주도하며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다” 고 활동 소감을 전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진로동아리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에 한발 더 가까워지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빠르게 변하는 환경으로 진로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에게 '청소년의 멘토 KB!'가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KB국민은행은 2015년 교육부와 ‘중학교 자유학기제 활성화와 청소년 진로교육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청소년 멘토링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기업 활동 전반에
삼성전자가 5G 이동통신장비에 대해 국제 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 CC) 인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CC인증은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는 ISO 15408 국제 기준으로 세계 각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안성 평가 기준 중 공통적인 평가 항목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해 획득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20년 1월부터 캐나다 보안 평가업체인 라이트십(Lightship)과 5G 이동통신 기지국의 보안성 검토를 시작해 11월 완료했으며, 국제 CC 포털에 보안제품으로 등록했다. 또한 2021년 1월에는 업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기지국을 미국 국가안보국(NSA) 산하 국가정보보증협회(NIAP)에서 관리하는 보안 인증 제품(Product Compliant List, PCL)으로 등재했으며, 캐나다 국방부 산하 통신보안국(CSE)의 인증 제품(Certified Product, CP) 목록에도 이름을 올렸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국제 표준인 CC인증과 병행해 자체적인 정보 보안 체계를 구축해 추가적인 보안 검증 및 인증 단계를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북미 지역에서 5G 상용망 공급뿐 아니라 다양한 방면으로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제품 신뢰
업계 최초로 출시했던 코스닥 전용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은 최근 발표된 기획재정부 및 금융위원회의 올해 업무계획 발표에 따른 연기금 등의 코스닥 투자 확대 계획으로 향후 코스닥 시장의 장기 안정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22일 발혔다. 코스닥전용펀드인 “현대인베스트먼트 코스닥 포커스 증권자투자신탁1호(주식)(이하 ‘코스닥 포커스 주식펀드’)” 역시 이러한 정책적 수혜로 인한 성장이 기대된다. 최근 발표된 올해 기획재정부 및 금융위원회 업무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연기금 등이 국내 주식에 대한 투자 범위를 다양화 하기로 했다. 연기금과 같은 상대적으로 대형 기관투자자 자금이 장기적으로 투자할 경우,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비중을 현재보다 더 높이고 투자 성과 판단지표에 코스닥을 포함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은 비교적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 투자자의 장기적인 자금 유입이 될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위주의 투자방식에서 장기투자 중심의 투자문화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투자자에 의한 풍부한 자금 유입과 투자문화의 전환은 코스닥 시장의 약점인 상대적으로
도미노피자가 홈페이지 회원을 대상으로 모든 프리미엄 피자 주문 시 사용 가능한 배달 25%, 포장 35%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도미노피자는 온라인 홈페이지 회원을 대상으로 오늘(22일)부터 28일(목)까지 1주일 간 사용 가능한 프리미엄 피자 배달 25%, 포장 35% 할인 쿠폰을 내일 제공한다. 할인 쿠폰은 홈페이지 쿠폰함에서 확인 가능하다. 도미노피자 관계자는 “외출이 힘든 요즘 집에서 맛있고 즐거운 시간 보낼 수 있도록 프리미엄 피자 주문 시 파격 할인하는 프로모션을 준비했다”며 “1주일 간 도미노 프리미엄 피자를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즐겨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전자계약 플랫폼 피르마체인(FirmaChain)이 중국의 블록체인 정보 커뮤니티인 무애커뮤니티(无涯社区, Ourea Distributed Community)와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파트너십 주요 목적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 전자계약 서비스 촉진이다. 이에 무애커뮤니티는 피르마체인의 전자계약 솔루션을 도입해 활용할 예정이다. 무애커뮤니티는 블록체인 기술 관련자들이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가치를 창출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곳이다. 무애커뮤니티는 OG(Ourea Group) 산하 중국 내 커뮤니티로, OG는 무애커뮤니티를 비롯해 과각우주(果壳宇宙, DfinityFun), OG 인큐베이터(OG incubator) 등 세 가지 주요 생태계로 이뤄졌다. 과각우주는 개발자 및 창업자들로 이뤄진 중국어 커뮤니티로 디피니티(Dfinity) 기반의 허브 구축 및 오픈 소프트웨어 육성이 목표다. OG 인큐베이터는 여러 프로젝트의 초기 인큐베이팅 및 파트너십에 참여한 바 있다. 윤영인 피르마체인 대표는 “도뉴(DONUE)의 소프트 론칭 뒤 국내외에서 사용 문의가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 내 블록체인 기술 정보 커
국내 최대 도심형 아울렛, 마리오아울렛(회장 홍성열)이 22일에 열린 ‘2021 고객감동경영대상’ 시상식에서 패션아울렛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한 이번 시상식에서 마리오아울렛은 국내 최초로 정통 패션 아웃렛 개념을 구현하고 고객 중심 서비스의 선도기업으로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마리오아울렛은 국내에 아웃렛 개념이 생소하던 2001년에 대한민국 최초의 정통 패션 아웃렛을 선보였다. 그 결과 마리오아울렛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국내 아웃렛 시장을 붐업시킴과 동시에 가산∙구로디지털단지(G밸리)를 서울 최대의 패션 유통단지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2001년 1관 개관을 시작으로 2004년 2관, 2012년 3관을 차례로 오픈하였으며 2013년 9월에는 총 3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마리오 패션타운’을 완성했다. 현재 마리오아울렛에는 600여 개 브랜드가 입점해 있으며, 국내•외 유명 패션 브랜드부터 키즈 테마파크, 서점, 리빙, F&B까지 남녀노소가 모두 함께 둘러볼 수 있는 다양한 쇼핑 카테고리를 보유하고 있다. 마리오아울렛은 끊임없는 도전 정신으로 업계를 선도하는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지난 2018년 4월 대대적인 전관
DL이앤씨(옛 대림산업)가 클라우드 방식의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술을 적용하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DL이앤씨는 RPA 로봇의 이름을 ‘디노(DINNO)’라고 지었다. DL Innovation을 줄인 말로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혁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현재 디노는 최신 법규 변동사항 모니터링, 원자재 시황자료 수집, 협력업체 근황 뉴스 업데이트, 온라인 최저가 모니터링, 전표 발행 등을 처리하고 있다. 디노의 업무량을 사람의 업무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1만 시간에 달한다. DL이앤씨는 디노를 현장 업무에도 빠르게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해 말까지 디노가 전사적으로 8만 시간의 업무를 처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L이앤씨는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디지털 혁신에 적극 나서고 있다. 빅데이터와 AI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 건설을 구현하는 한편, 최신 IT 기술과 첨단 건설 공법을 결합해 업무 효율성과 원가혁신, 생산성까지 한꺼번에 잡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DL이앤씨는 보수적인 건설업계
휴온스가 병의원 전용 피부 케어 전문 제품 ‘베러덤MD크림’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마케팅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전국 주요 화상 전문센터에서 사용되며 피부 보호 효과를 인정받아온 ‘베러덤MD’ 브랜드 소개와 함께 병의원 방문 시에만 접할 수 있었던 ‘베러덤MD크림’만의 제품 특징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베러덤MD크림’은 화상(1도 또는 경미한)이나 건조한 피부 등 피부 장벽이 손상된 부위에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투명창상피복재’로, 치마버섯에서 추출한 고순도 베타글루칸(β-glucan)이 건조하고 연약한 피부의 장벽 강화에 도움을 준다. 특허 받은 정제기술을 적용, 베타글루칸의 내독소(엔도톡신)가 제거돼 피부 자극을 줄였으며, 피부 자극성 시험과 피부 감작성 시험 모두에서 ‘0등급’을 받는 등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도 ‘베러덤MD크림’ 처방이 가능한 병의원 정보를 제공하는 ‘병의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며, ‘베러덤MD크림’의 기술과 특징, 제품 상담을 원하는 이들을 위해 Q&A 서비스도 운영한다. 한편, 휴온스는 지난해 2월부터 화상 전문센터에서 피부 보호와 보습을 목적으로 사용하던 ‘베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한국, 미국, 홍콩 등 3개국에 상장한 ‘미래에셋 글로벌 BBIG ETF 시리즈’의 순자산이 10조원을 넘었다고 22일 밝혔다. 각 테마별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작년부터 순자산이 9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BBIG(BATTERY, BIO, INTERNET, GAME) ETF는 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산업 관련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이다. BBIG 산업은 국내의 경우 차별화된 성장 모멘텀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판 뉴딜의 수혜가 기대되는 분야다. 전세계적으로도 클라우드, 전기차, 이커머스 등 BBIG 관련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종가 기준 규모가 가장 큰 상품은 ‘LIT ETF(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로 규모가 3조원에 육박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확대에 맞춰 채굴 및 정제, 베터리 생산 등 리튬 싸이클에 투자해 2020년 수익률이 126%에 달한다. 이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CLOU ETF(Global X Cloud Computing ETF)’가 1.7조원으로 규모가 크다. 작년 수익률은 77%로, 전세계적으로
DL이앤씨(옛 대림산업)가 클라우드 방식의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술을 적용하며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DL이앤씨는 RPA 로봇의 이름을 ‘디노(DINNO)’라고 지었다. DL Innovation을 줄인 말로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혁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현재 디노는 최신 법규 변동사항 모니터링, 원자재 시황자료 수집, 협력업체 근황 뉴스 업데이트, 온라인 최저가 모니터링, 전표 발행 등을 처리하고 있다. 디노의 업무량을 사람의 업무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1만 시간에 달한다. DL이앤씨는 디노를 현장 업무에도 빠르게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해 말까지 디노가 전사적으로 8만 시간의 업무를 처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L이앤씨는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디지털 혁신에 적극 나서고 있다. 빅데이터와 AI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 건설을 구현하는 한편, 최신 IT 기술과 첨단 건설 공법을 결합해 업무 효율성과 원가혁신, 생산성까지 한꺼번에 잡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DL이앤씨는 보수적인 건설업계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는 통합 신한라이프의 창의롭고 유연한 조직문화 구축을 위해 통합 사옥인 신한L타워의 사무환경 혁신과 전일 자율 복장제를 시행했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사무공간 혁신은 지난 11월 양사가 공동으로 진행한 ‘사무공간 혁신 프로젝트’의 결과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직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현장투표 결과를 반영하여 콘셉트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구성원간 자유로운 소통을 위한 공간 마련에 중점을 두어 부서장 개별공간을 오픈하고 직급에 관계없이 수평적인 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그룹별 특성을 감안하여 사무환경 테마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일하는 방식에 맞는 최적의 사무환경을 제공했다. 8가지 테마는 ▲Activity형 ▲Cafe형 ▲Health Care형 ▲Cinema형 ▲Camping형 ▲Library형 ▲Travel형 ▲Garden형 이다. 한편, 신한생명과 오렌지라이프는 통합 신한라이프 출범을 앞두고 이달 말 양사간 교류를 위한 코로케이션(Co-location)을 진행할 계획이다. 양사는 Do & Don’t 제한이 없는 전일 자율 복장제를 도입했다. 이는 자율과 책임을 통해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유연한 기업문화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의장 나재철)는 오는 25일 저녁 8시부터 2021년 국내·외 경제동향 및 주식시장 전망’이라는 주제로 국내 주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의 온라인 좌담회를 갖는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좌담회는 개인들의 국내외 투자가 지속 확대되는 상황에서 시청자의 합리적 투자를 돕고, 이해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총 3부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종우(前 IBK투자증권, 사회), 최석원(SK증권)과 오현석(삼성증권) 3명이 패널로 참여한다. 1부에서는 ‘국내·외 경제 동향’에서는 미국 경제가 예상만큼 성장할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중국 경제의 역할과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 경제와 관련해서는 3%대 성장 가능성과 V자 반등으로 이어질지 여부를 분석해 본다. 2부는 ‘국내·외 주식시장 전망’에서는 연 초에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주가상승이 토론 주제다. 국내 기업 실적이 주가 상승을 뒷받침할지 여부와 개인투자자의 시장 참여 지속 가능성을 분석해본다. 아울러 국내 투자자의 해외시장 참여가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 해외 시장 전망을 알아 본다. 투자 업종과 관련해 최근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반도체산업과 새로운 성장 업종의 부상 가능성도 타진해 본다. 마지막으로 3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