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전자계약 플랫폼 피르마체인(FirmaChain)이 글로벌 블록체인 금융·보안 기술 선두 기업 블루힐릭스 코리아(Bluehelix Korea)와 전략적 사업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전자계약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 촉진 및 기술 협업이 주요 내용이다. 블루힐릭스 코리아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블루힐릭스가 2019년 서울에 설립한 조인트벤처다. 블루힐릭스는 금융 거래와 디지털 자산 관리를 위한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후오비(Huobi) CTO 출신인 제임스 주(James Ju)가 구글, 알리바바, 텐센트 출신의 구성원들과 2018년 창립했다. 블루힐릭스 설립 초기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을 비롯해 노드 캐피탈(Node Capital) 등에서 15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시장에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현재 블루힐릭스는 HBTC 체인, 클라우드 형식의 거래소 솔루션 개발, HBTC 거래소 총 3개 사업을 주축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 가운데 HBTC 거래소는 애플 공동 창업자 스티브 워즈니악이 설립한 블록체인 스타트업 에포스(Efforce)의
무비블록은 오스카, 칸 영화제 등 국제 유명 영화제 수상작 보유 배급사 Origine films 와 단편영화의 대중화와 영화 산업의 발전을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 Origine Films는 쉽게 접하기 힘들었던 국제 영화제 수상작들을 모두가 접할 수 있도록 무비블록 플랫폼에 상영할 예정이다. 전세계 영화제 수상작들은 페이팔과 MBL 결제를 통해 무비블록에서 감상 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로 투명한 수익 정산을 진행할 것이다. 무비블록에서는 Origine Films배급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영화 또는 호평을 받은 영화제 출품작 40여편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가 대표적인 NFT 코인 ‘플로우(FLOW)’의 누적 거래량이 1000만달러를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에서 NFT 토큰의 강세는 2020년 디파이(De-fi) 코인이 연상될 정도다. 2월과 비교해 평균 200%가 넘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NFT는 개체마다 고유한 가치를 지닌 토큰으로 다른 토큰과 상호 교환될 수 없는 게 특징이다. 이를 활용해 특정 플랫폼에 얽매이지 않고, 보유자의 디지털 희소성과 소유성을 증명할 수 있어 차별화된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NFT 관련 코인들이 스포츠, 아티스트, 게임, 문화 예술 등 디지털 콘텐츠와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가운데 플로우(FLOW)도 눈에 띄는 성장을 보이고 있다. 플로우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 및 디지털 수집품(NFT)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대표적인 NFT 코인이다. 출시 후 게임, 스포츠, 음악, 예술품 등 여러 분야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 그 가운데 최근 엄청난 수요 증가를 보이는 NBA 탑샷의 성장이 플로우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UFC와 NFT 프로젝트를 체결하며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후오비 코리아는 2월 초
가상자산 거래소 포블게이트(대표 이철이)가 공시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포털 쟁글(Xangle)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공시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쟁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포블게이트 거래소에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의 공시를 공유하고, 회원들에게 사업 내용, 재무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올바른 투자 환경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포블게이트는 쟁글(Xangle) 플랫폼으로부터 가상자산을 발행하는 기업 중 포블게이트에 상장된 주요 프로젝트의 상시 공시 정보를 실시간 공유 받는다. 상시 공시에는 신규 상장 및 상장폐지, 마일스톤 달성 및 신규 사업 확장 등 오프체인 정보부터 자산 토큰 매입 및 소각 등의 온체인 관련 변동 사항 등이 포함된다. 쟁글(Xangle)은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 및 크립토 시장, 프로젝트 정보 공시 포털로 유저에게 투명한 정보 공개를 위해 국가 별, 프로젝트 별 가격 통합∙표준 데이터를 산출해 제공한다. 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주요 가상자산의 기술적 데이터인 온체인 데이터 또한 API를 통해 적극적으로 필요 기관 등에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포블게이트는 쟁글 플랫폼 데이터를 거래소 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쟁글 티
빗썸(대표 허백영)이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지정한 자금세탁방지(AML) 미이행 국가 거주자들에 대한 거래를 차단한다고 9일 밝혔다. 빗썸은 지난달 FATF 총회에서 자금세탁방지 국제기준 미이행 국가에 4개국이 신규 추가됨에 따라, 이를 자체 ‘자금세탁방지 행위에 관한 규정’에 반영하고 즉시 시행한다고 밝혔다. 규정에 따라 자금세탁방지 미이행국가 이용자는 신규 회원가입이 불가하며, 기존 회원의 계정도 중단된다. 거래가 제한되는 국가는 ‘조치를 요하는 고위험 국가’ 이란, 북한을 포함해, ‘강화된 관찰 대상 국가’ 19개국(케이만군도, 부르키나파소, 모로코, 세네갈 등 신규 4개국 포함) 등 총 21개 국가이다. 빗썸은 자체 자금세탁방지 정책을 마련 시행 중이며, 모든 회원의 거주지 확인 등 고객신원확인(KYC) 절차를 강화해 자금세탁방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옥타솔루션과 가상자산 사업자에 특화된 AML·이상거래탐지(FDS)솔루션을 공동 개발 했으며, 미국 블록체인 분석기업 체인널리시스의 전문 솔루션과 다우존스사의 솔루션도 도입했다. 자체 자금세탁방지센터도 업계 최초로 설립했다. 센터는 지속적으로 고객확인(KYC), 의심거래보고(STR) 등
실생활에 유용한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만나 색다른 즐거움과 혜택 가득한 이벤트로 이용자들을 찾아간다.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중인 밀크파트너스(대표 조정민)는 이멜벤처스의 노래방 앱 ‘썸씽’과 제휴 이벤트를 열고 본격적인 협업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달 여가·문화 생활을 중심으로 상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약속한 바 있다. 밀크와 썸씽 플랫폼에서 동시에 열리는 이번 이벤트는 ‘부르고 마시니 좋은날’을 주제로, ‘신규가입 이벤트’와 ‘썸 페스티벌 이벤트’로 나뉘어 진행된다. 참여자에게는 총 1000만원 상당의 밀크 코인과 썸씽 코인이 경품으로 지급된다. 먼저, 신규가입 이벤트는 밀크와 썸씽 이용자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각각의 앱에서 제공되는 링크를 통해 신규회원으로 교차 가입 시, 기존 밀크 이용자에게는 5천원 상당의 썸씽 코인을, 기존 썸씽 이용자에게는 5000원 상당의 밀크 코인을 각각 300명(총 600명)에게 추첨을 통해 증정한다. 썸 페스티벌 이벤트는 일종의 노래 경연 방식으로, 썸씽 앱에서 원하는 노래를 부르고 포스팅 시 ‘썸 페스티벌 참여’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참여할 수 있다. 포스팅 된
이지스체인(대표이사 박근덕 서울외대 교수)은 지난 2월 16일, 특허청으로부터 ‘보안이 향상된 분산원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산원장기술 기반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특허(등록번호:10-2218163)를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본 특허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산하 정보통신표준화위원회에서 지난 12월에 제정한 정보통신단체표준(TTAK.KO-12.0368: 분산원장시스템을 위한 보안기능 요구사항)과 연계되어 있는 표준특허이다. 최근 공공 및 금융 분야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예: 하이퍼레저, 이더리움 등)을 활용하여 구현되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대응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표준특허 기술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 이용자 익명성, 소프트웨어 위‧변조, 암호키 유출, 비인가된 접근, 데이터 유출 및 위‧변조, 시스템 장애, 감사 기록 손실 등 보안 위협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대국민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번 표준특허를 개발한 박근덕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는 블록체인 특성에 맞게 개발 단
공시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포털 쟁글은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아르고(AERGO)와 함께 프로젝트 공시를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쟁글은 이번 협업으로 공시 기록을 블록체인에 저장, 공시 서비스 투명성을 제고하고 투자자 보호 장치를 강화하겠다는 포부다. 쟁글은 아르고와 함께 공시 내용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기 위해 데이터 검증 연합체인 DTT 얼라이언스(Decentralized Trusted Timestamping) 기반의 미러링 서비스를 개발하고, 아르고 메인넷과 연동할 계획이다. 이로써 기존 공시 서비스보다 더 높은 투명성과 보안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큰 소각이나 대규모 송금 등 다양한 온체인 활동을 감지해 아르고 메인넷에 기록 후 공시하는 '블록체인 네이티브'한 공시 서비스 구현 역시 가능하다. 그동안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프로젝트에서 올리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투자자 피해가 발생해왔다. 일부 프로젝트에서 발표 내용을 번복하거나 공지글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정보 발행 주체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투자 판단이 어렵다는 평을 받아왔다. 쟁글과 아르고의 협업으로 공시를 블록체인 위에 기록하게 되
금융기술사 피어테크(대표이사 한승환)는 우리금융그룹의 자회사인 우리펀드서비스(대표이사 고영배)와 ‘디지털 자산 기업회계 플랫폼’ 론칭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국내 최초로 제도권 금융서비스사가 직접 개발하는 디지털 자산(가상자산) 서비스다. ‘디지털 자산 기업회계 플랫폼’은 고객이 보유 또는 운용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전체 운용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토탈 IT솔루션이다. 해당 솔루션은 피어테크와 우리펀드서비스가 공동 개발하여 론칭되며, 서비스는 피어테크의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고 우리펀드서비스가 운영 및 개발을 맡는다. 해당 플랫폼은 올해 상반기내 론칭 예정이다. 피어테크의 한승환 대표는 “해당 솔루션을 통해 기업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고 적법한 회계 및 세무처리를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제도권 내에서의 디지털 자산을 위한 여러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노력을 기할 것” 이라고 전했다. 우리펀드서비스 고영배 대표이사는 “최초로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출한 만큼 투자기업에 대한 지원서비스의 실질적인 필요성을 전파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전력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의 운영사인 '람다(Lambda)256'은 별도의 얼라이언스 가입 필요 없이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SDK만으로 DID dApp을 만들 수 있는 루니버스 DID 상품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루니버스 DID(Decentralized Identity)는 사용자 스스로가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디지털 아이덴티티(Digital Identity)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증명하는 기술로 자기 주권 신원 증명(SSI-Self Sovereign Identity)을 위한 Developer API 서비스이다. 람다256은 지난해 공인인증서 폐지와 데이터 3법 개정으로 새로운 전자서명 기술의 대안으로 DID 기술과 함께 마이 데이터 사업이 가속화 됨에 따라 루니버스도 사용자가 스스로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데이터 주권 서비스인 "루니버스 DID"를 선보이게 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루니버스 DID는 Issuer(발급기관)을 위한 Credential 템플릿과 Verifier(검증자, 서비스제공자)를 위한 인증 시나리오 제작 기능을 제공하고, SDR(Selective Disclosure Request) 기반 다양한 인증 시나리오를 위한 직관적인 저작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