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은 청약저축 신규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청약으로 세배드림!’이벤트를 3월 31일까지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신규 가입 하는 고객 500명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신세계 모바일상품권(2만원권)을 제공한다. 또한 비대면 채널을 통해 신규 가입하거나 자동이체를 등록한 고객 300명에게는 신세계 모바일상품권(5만원권)을, 비대면 신규 가입과 자동이체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고객 5명에게는 롯데호텔 뷔페 식사권 2매를 추첨을 통해 증정한다. 이번 이벤트는 조건 충족 시 자동 응모되며 중복 당첨이 가능하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우리WON뱅킹, 인터넷뱅킹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주택 ․ 민영주택 분양 우선권이 주어지는 상품으로 매월 2만원 이상 50만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다. 다만,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만 19~34세의 연소득 36백만원 이하 무주택세대주 등의 조건 충족 시 가입할 수 있다. 금리는 2년 이상 가입 시 13일 현재 주택청약종합저축 세전 최대 연 1.8%,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세전 최대 연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은행의 모든 상품,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자 고객자문단 ‘쏠메이트(SOL-Mate)’ 1기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쏠메이트’는 ▲설문조사 ▲의견 제안 ▲상품ㆍ서비스 제작 프로젝트 직접 참여 활동을 통해 고객의 생생한 의견을 상품과 서비스에 신속하게 반영하고, 고객 관점에서 모든 은행 업무를 점검하고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신설됐다. ‘쏠메이트’는 10대부터 총 5개 연령대로 구분해, 연령별 각 1,000명씩 총 5,0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하며 3개월 단위로 활동할 예정이다. 이번에 모집하는 1기는 신한 쏠(SOL) 가입자라면 누구나 신한 쏠(SOL) 이벤트 페이지를 통해 21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쏠메이트’에게 ▲첫 활동 시 1만 포인트 ▲설문조사, 의견 제안, 의견 채택 시 5천 포인트 ▲프로젝트 참여 시 10만 포인트 ▲최우수 의견 선정 시 100만 포인트 등 마이신한포인트를 제공하고, 최우수 의견은 ‘쏠메이트’ 동료 투표와 유관부서 심사를 통해 3건을 선정한다. 특히 ‘쏠메이트’ 1기의 설문조사와 의견 제안 활동 중에서 우수 의견으로 선발된 ‘쏠메이트’가 심층토론 등의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에서 사회 초년생들의 빛나는 첫 출발을 응원하기 위해 2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오늘을 기다렸어(오!기!)」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하나은행 계좌로 급여를 처음 받는 20세부터 35세 이하의 사회 초년생에게 ▲오늘오기 ▲계속오기 ▲더 받아오기 ▲뭉쳐서오기 ▲내차를 가져오기 테마로 진행된다. 하나은행은 ‘오늘오기’ 이벤트를 통해 처음 급여이체를 하는 새내기 직장인 선착순 3만 명에게 금리우대쿠폰(0.25%)을 제공하며, ‘계속오기’에서는 안정적인 목돈마련을 위한 상품인 「급여하나 월복리 적금」에 대해 연 2.95% ~ 최대 4.25%(1년, 세전, 청년직장인 특별금리 연 1.3%, 금리우대쿠폰 포함)의 금리 제공 및 이체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추첨을 통해 ▲아이패드 Air 256GB(3명) ▲애플워치 Series 7(7명) ▲신세계상품권 20만원(12명)의 경품도 함께 증정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새내기 직장인들의 건전한 금융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대출 관련 ‘더 받아오기’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첫 급여이체 대상자 중 가계대출(신용, 전세, 주택담보, 오토론) 실행 후 2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은 개인사업자 및 WM고객의 비대면 금융 업무영역을 확대하고 디지털 채널 이용고객 관리를 위해 디지털 SOHO영업부와 WM영업부를 신설한다고 11일 밝혔다. 신한은행은 비대면 채널을 선호하는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대면채널과 동일한 수준의 종합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디지털영업부를 운영해 왔고, 금번 2개 영업부를 신설해 개인고객뿐만 아니라 개인사업자, 프리미어 고객도 비대면 디지털 금융 경험과 대면 수준의 컨설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디지털 SOHO영업부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 개인사업자 고객 중 지역신용보증재단 보증서대출 및 신한은행의 비대면 SOHO대출(쏠편한 사업자 대출, 신한 퀵정산 대출, 땡겨요 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비대면 채널 선호 고객을 대상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차별화된 고객 관리 및 전담 직원에 의한 맞춤형 금융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향후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디지털 WM영업부는 비대면 선호 고자산 고객을 위해 신한 쏠(SOL) 앱에 My care, AI맞춤형 자산관리, 실시간 talk 상담, 전문가 상담 연계서비스 등을 탑재하고 1:1 전담직원 매칭을 통한 차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더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 출시를 앞두고 오는 21일까지 사전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상품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소개 영상도 공개한다. 이 영상은 실제 구현 화면과 함께 다양한 사람들이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카카오뱅크 모바일 앱이나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 모바일 앱에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출시 알림을 신청하는 고객에게는 출시일에 개별 알림이 전달된다. 또한 해당 페이지를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총 5천 명에게 커피 쿠폰을 제공할 예정이다. 당첨된 고객에게는 오는 25일 개별 안내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이미 신용대출과 전월세보증금대출 등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던 것처럼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에서도 남다른 서비스를 선사할 것"이라며, "사전 알림 신청을 통해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을 누구보다 먼저 경험하실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IBK기업은행(은행장 윤종원)은 ‘서울대학교 창업경진대회’에서 우수 창업팀으로 선정된 창업동아리에게 ‘IBK기업은행 특별상’을 시상했다고 10일 밝혔다. ‘IBK창공 서울대캠프’는 지난해 5월 예비창업자 발굴 및 지원을 위해 기업은행과 서울대학교가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마련된 창업육성 플랫폼이다. 기업은행은 참여기업에 사무공간, 1:1 맞춤형 멘토링, 서울대 출신 선배 창업가와 네트워킹을 진행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등 예비창업자의 성장을 지원했다. 이번 행사에는 IBK창공과 서울대학교가 공동 육성한 창업동아리 10개팀이 참여해 창업 아이템을 소개하며 열띤 경쟁을 펼쳤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IBK는 현재 5개의 IBK창업육성 플랫폼을 운영중”이라며 “향후에도 유수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해 잠재력 있는 예비창업자 공동 육성·지원을 위해 IBK창공 캠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업은행은 졸업기업에게도 후속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IBK창공 졸업기업 Closed IR’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참여대상은 창공 졸업기업 369개사 중 투자유치가 필요한 기업이며 IBK금융그룹 투자담당자 및 실제 투자를 담당하는 외부 VC(벤
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은 역량 있는 젊은 PB를 조기 양성하기 위해 ‘차세대PB 패스트 트랙(Fast Track)’ 제도를 신설해 1기 4명을 선발했다고 9일 밝혔다. ‘차세대PB 패스트 트랙’ 은 매년 100여명 수준으로 공모 선발하는 자산관리 전문인력 풀(Pool)인 차세대PB 중 일정 자격을 갖춘 우수인력을 재선발해 전문PB로 정예화하는 제도이다. ‘차세대PB 패스트 트랙’ 1기는 자산관리 업무경력 및 자격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30대 젊은 직원으로 선발되었으며, 자산관리 특화채널인 TCE센터 및 TC프리미엄센터 OJT(On-the-Job Training, 도제식 교육훈련) 등 다양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 수료 후 정식 PB로 바로 임명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차세대PB 패스트 트랙’제도로 능력 있는 인재들이 빠르게 성장해 전문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며 “금융시장에서 인정받는 PB들을 많이 양성해 자산관리부문 시장 선도 및 명가 재건을 위해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2022년 디지털 자산관리 트렌드에 대해 분석한 및 국내 온라인 펀드시장 규모 전망을 담은 '2022 대한민국 디지털 자산관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현재 시점에서 국내 디지털 자산관리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하여 디지털자산관리를 시작하거나 관심이 많은 손님들에게 디지털 자산관리 시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드리기 위해 발간하게 되었다. 하나은행 디지털 자산관리센터 에서는 2022년 디지털 자산관리의 핵심 키워드로‘초개인화’를 선정했으며 4가지 대표 트렌드로‘편리미엄, 참여, 투자여정, 데이터기반’을 선정했다. 또한 코로나19를 계기로 온라인 전용 펀드 잔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금융회사의 비대면 투자 강화, MZ세대를 중심으로 스마트한 금융 소비자의 출현 등으로 온라인 펀드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나은행은 이러한 디지털 자산관리 트렌드에 맞춰 지난해 디지털투자플랫폼 「펀샵(Fun#)」을 오픈하였으며 지난 12월 하나은행 금융소비자보호섹션 에서 실시한 소비자 패널조사에서 쉽고 재미있는 펀드 설명, 신호등을 이용한 상품 진단, 상품추천까지 연계되어 있는 점 등 긍정적인 반응을
카카오페이가 2021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작년 연간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99조, 연간 연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한 4,58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카카오페이의 핵심 사업 방향을 ‘Back to the Basic’으로 잡고, 출범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 사용자 경험에 집중하여 사업의 기틀을 견고히 다지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페이의 4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26조 원을 달성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2019년 연간 거래액 48조 원의 2배를 넘어서는 99조 원을 기록해 100조 원에 육박하는 거래액을 달성했다. 금융 부문은 총 139개 금융사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연간 거래액이 193% 증가했다. 연간 펀드 투자 거래액은 156%, 대출 중개 거래액은 3배 이상 늘어나며 금융 플랫폼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결제 부문 연간 거래액은 온라인 결제액 67%, 오프라인 결제액이 77% 증가하면서 2020년 대비 총 68% 성장률을 보였으며, 송금 부문도 37% 증가했다. 4분기 연결 매출(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1,274억 원을 기록했다. 결제 부문 매출이 전
우리은행(은행장 권광석)은 상품을 가입할 때마다 즉석 당첨 경품응모권을 제공하는 ‘2022년 재테크로 럭키찬스’이벤트를 3월 말까지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우리은행 영업점과 우리WON뱅킹을 통해 예·적금, 청약, ISA, 개인형IRP, 오픈뱅킹을 신규 가입한 고객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고객은 해당 상품을 가입할 때마다 최대 8번까지 응모할 수 있다. 참여고객은 경품응모권을 받고 우리WON뱅킹 이벤트 페이지에서 ▲신세계백화점 상품권 5만원권, ▲올리브영 상품권 2만원권, ▲파리바게뜨 상품권 1만원권, ▲스타벅스 모바일 커피 쿠폰, ▲GS25 상품권 2천원권 중 원하는 즉석경품을 응모할 수 있다. 또한, 우리은행은 즉석경품 응모권과는 별도로 추가 추첨을 통해 ▲삼성 더 프리스타일 ▲LG 스탠바이미를 총 10명에게 제공하며, 우리은행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하는 라이브 방송 이벤트에서도 참여고객을 대상으로 삼성 더 프리스타일 등 경품 총 500여 개를 추첨을 통해 제공한다. 자세한 이벤트 내용은 가까운 우리은행 영업점 또는 우리WON뱅킹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을 이용해 주시는 고객에게 감사의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