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고성장 바이오 산업...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 한다

‘바이오산업 혁신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 발표…규제 풀고 정책금융 확대

정부가 고성장이 예고되는 바이오산업을 획기적으로 혁신하기 위해 레드바이오 뿐 아니라 그린, 화이트 바이오까지 확대하고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15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열고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태스크포스(TF)가 마련한 이같은 내용의 바이오산업 혁신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바이오산업은 응용 분야에 따라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로 분류되는데, 레드바이오는 바이오의약과 헬스케어를, 그린바이오는 맞춤형 혁신식품·생명자원·식물공장 등을, 화이트바이오는 바이오연료·바이오리파이너리·바이오플라스틱 등을 각각 말한다.

정부는 바이오산업 혁신 T/F를 구성한 뒤 범부처 차원의 집중 논의를 통해 R&D 혁신, 인재양성, 규제·제도 선진화, 생태계 조성, 사업화 지원 등 5대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혁신 파급력이 큰 10대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먼저 부처와 사업별로 분산돼 있는 바이오 연구데이터를 통합 수집, 제공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100만명에 달하는 의료·건강 분야 빅데이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식량이나 환경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린·화이트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와 실증연구 확대를 검토한다.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한국형 생산·개발인력 교육기관(NIBRT)설치가 검토된다. NIBRT는 아일랜드의 바이오 의약품 연구 및 인력 양성기관(NIBRT·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 Training)을 벤치마킹해 의약품 생산, 품질관리 등 바이오산업 공정의 전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생산·개발 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또 의료데이터 활용과 민간개방 확대,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의료기기 품목 신설, 혁신의료기기 우선심사제도 도입, 건강관리 서비스 인증, 건강인센티브 제도 도입,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의 생산시설 규모 제한 완화 등 규제·제도 개선 과제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잔여배아 연구범위 확대 등 추가 검토가 필요한 규제개선 과제는 규제샌드박스나 규제 개선 T/F 등 논의를 통해 획기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바이오산업의 맞춤형 금융지원과 금융제도 정비도 추진키로 했다. 레드바이오에는 모험자본을 공급하고, 그린·화이트바이오에는 맞춤형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보험회사의 헬스케어 부수업무 신고시 질병정보 처리 허용확대 등 제도 개선도 추진키로 했다.
 
규제자유특구, 첨단의료 복합단지, K뷰티 클러스터 등을 중심으로 대학·병원·연구소와 컨소시엄을 통한 한국형 랩센트럴 구축도 추진한다.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에 소재한 세계 최고 바이오 스타트업지원기관인 랩 센트럴은 창업자들에게 공동실험실과 연구장비를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 차세대 대체식품, 고령친화제품 등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을 활성화하고 화이트바이오산업 기반인 바이오매스 등 원료를 확보하는 한편, 생물유래 플라스틱 소재 등 신소재 개발을 위한 R&D 확대와 세제지원도 추진한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T/F 논의와 전문가 간담회 등을 거쳐 핵심과제별 세부대책을 마련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포토이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