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간편투자 플랫폼 ‘핀트(fint)’를 운영하는 디셈버앤컴퍼니가 KB증권과 AI투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8월 초 요동치던 국내외 증시는 하락세를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손실폭을 회복하고 시장 전반이 회복하는 가운데, 신중하게 자산관리를 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니즈 또한 커지는 추세다. 이에 지난 2022년의 긴 하락장에서도 탁월한 손실방어 능력을 입증했던 RA(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AI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트는 다양한 AI투자 전략 및 꾸준한 수익률과 더불어 하락장에서도 손실을 방어하는 탁월한 성과를 보여 눈길을 끈다. 지난 7월의 미국 증시의 조정장 여파로 △S&P500(-4.6%) △나스닥(-9.6%) △코스피(-10.8%)가 하락하는 동안에도 핀트가 운영하는 주식전략 3종은 손실폭은 줄이고 오히려 수익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보였다. 실제로 동기간 (7/9~8/8) 핀트의 △미국주식솔루션 lv(USD) 2.6% △한국주식솔루션 lv5(KRW) 0.5% △미국배당주식 lv5(USD) 3.9%가 상승했다. 핀트의 AI 알고리즘 ‘아이작’이 특정 상위종목에 집중하기 보다 시장에서 저평가된 종목의 상승 기대확률
코람코자산신탁과 코람코자산운용(이하 ‘코람코’)이 리서치•전략기능(Research & Strategy) 강화를 위한 조직구성을 마무리했다고 21일 밝혔다. 올초 NH투자증권의 간판 애널리스트였던 김열매 실장을 영입한데 이어 이날 글로벌 상업용부동산 서비스기업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리서치팀장을 역임한 정진우 팀장을 추가 영입하며 리서치•전략조직을 완성했다. 코람코는 지난 2007년 부동산업계 최초로 조사분석팀을 조직해 10여 년간 투자자에게 부동산 및 금융산업 전반에 대한 전망과 분석을 제공했다. 이후 실무마케팅 지원을 위해 현업 각 부문으로 분화했었던 전략기능을 최근 다시 ‘Research & Strategy실(이하 R&S실)’로 통합해 전사적인 투자전략 수립에 나섰다. 급격한 매크로(거시경제) 환경변화와 섹터별 엇갈린 시장전망 등에 대해 명확한 분석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실제 R&S실 확대개편 후 투자자와의 소통에서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미 투자자 및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시장 및 섹터별 전망자료인 마켓아웃룩(Market Outlook)이 배포되기 시작했고 영업부서의 투자제안서(IM: Information Memorando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바이오TOP10 ETF(364970)’가 바이오/헬스케어 섹터 ETF 중 개인 누적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9일 종가 기준 ‘TIGER 바이오TOP10 ETF’의 상장일(2020년 10월 7일)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935억원이다. 국내 상장된 바이오/헬스케어 섹터 내 ETF는 총 20종으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개인 투자자 자금이 유입됐다. ‘TIGER 바이오TOP10 ETF’는 국내 대표 바이오/헬스케어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ETF다. 19일 기준 국내 바이오위탁개발생산(CDMO) 대장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셀트리온’을 각각 25%씩 편입하고 있다. 이는 국내 상장된 ETF 중 가장 많은 투자 비중이다. 그 외 ‘SK바이오팜’에도 25% 투자한다. 최근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되며 ‘TIGER 바이오TOP10 ETF’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화되는 추세다. 현재 미국 정부는 약가 인하를 위해 바이오시밀러 시장 개방 의지를 보였으며, 여기에 미국 의회가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으로 중국 CDMO 기업에 대한 제재가 이뤄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 금융투자교육원은 챗GPT의 효과적인 업무 활용을 위한「챗GPT 금융활용 실무」집합과정을 개설하고, 9월 10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한다. 이 과정은 금융 업무에서 마주할 수 있는 실제 문제상황을 케이스별로 상정하고, 전문가와 함께 각 상황별 프롬프트를 작성해보는 실습과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챗GPT로 보고서 작성, Excel 및 SQL 함수 코드 작성, 주식리서치, 채권 및 환율 관련 업무처리 등 과제를 직접 수행함으로써 실제 업무에서 챗GPT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기간은 10월 8일(화), 10월 10일(목) 총 2일(8시간)이며,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야간교육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수강신청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금융투자교육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한투자증권(대표이사 김상태)은 신한 SOL증권 앱에 ‘My Page’를 오픈했다고 16일 밝혔다. ‘My Page’는 수많은 정보가 있는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앱에서 ‘나’와 관련된 것만 한군데 모아 초개인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했다. 내가 받고 있는 혜택, 나를 위한 서비스, 콘텐츠를 모아 보는 섹션들로 구성했고 홈 화면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혜택’ 섹션에서는 현재 받고 있는 수수료 혜택뿐만 아니라 포인트와 쿠폰을 모아서 볼 수 있고, 우대 등급 현황도 알 수 있다. 또한, 나와 관련된 정보 및 각종 신청 현황도 한 군데서 볼 수 있다. ‘활동’ 섹션에서는 보유 및 관심 주식의 시세/주문/배당/권리 등의 현황과 최근 조회 콘텐츠, 참여한 이벤트, 커뮤니티 활동 내역을 모아서 보여준다. ‘추천’ 섹션에서는 보유하거나 검색한 주식과 금융상품 등 연관된 것을 추천하고, 고객이 필요한 화면 및 응모 가능한 이벤트도 알려준다. ‘주주’ 섹션에서는 주주관리 및 IR 전문기업인 IR큐더스와의 협업을 통해 기업 IR 담당자가 기업의 IR 자료,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 AI 요약, 웹캐스팅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인도니프티50 ETF(453870)' 순자산이 6,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4일 종가 기준 ‘TIGER 인도니프티50 ETF’ 순자산은 6,365억원이다. 국내 상장된 인도 투자 ETF 중 최대 규모로, 순자산 6,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인도 대표 지수인 ‘Nifty 50지수’에 투자하는 ETF다. Nifty 50 지수는 인도거래소(NSE) 상장 종목 중 유동비율 시가총액 기준 상위 50종목을 담고 있는 지수로, 연초 이후 11%p 이상 상승했다. 인도 증시의 이 같은 상승세에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14일 기준 상장일(2023년 4월 14일)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가 2,093억원에 달하는 등 해당 기간 국내 인도 투자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 특히 ‘TIGER 인도니프티50 ETF’는 인도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데 한계가 있는 국내 개인 투자자들에게 인도 투자의 기회를 제공하며 주목받고 있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부상하면서 막대한 글로벌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는 국가다. 또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458260)’가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3일 종가 기준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 순자산은 1,080억원이다. 국내 상장된 해외 크레딧 중장기 채권형 ETF(채권을 60%이상 편입하는 해외채권 ETF) 가운데 처음으로 순자산 1,000억원을 넘어섰다.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는 JP모건, 애플, 아마존 등 미국 대표 우량 기업의 회사채에 투자하는 ETF다. 미국 국채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투자등급 회사채는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아 디폴트 위험이 낮고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는 월분배형 ETF로, 매월 안정적인 인컴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TIGER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H) ETF'는 미국에 상장된 역외 ETF인 ‘LQD(iShares iBoxx $ Investment Corporate Bond)’와 동일한 비교지수를 추종한다. 역외 ETF와 달리 국내 상장 ETF는 한국 주식시장 개장 시간 동안 실시간 매
NH-Amundi자산운용(대표이사 임동순)은 인도 대형주 포커스 펀드가 설정 후 수익률 100%를 돌파했다고 13일 밝혔다. NH-Amundi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인도 펀드는 설정 후 수익률 118.84%를 기록했다. NH-Amundi자산운용 인도 대형주 포커스 펀드는 인도 현지에서 규모가 가장 큰 자산운용사인 SBI Funds Management의 인도 펀드에 재간접 투자하는 펀드이다. NH-Amundi 자산운용 인도 대형주 포커스 펀드는 인도 시장에서 산업재, 소비재, 금융 등 대형주 중심 포트폴리오로 구성해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한다. 산업군보다 종목을 먼저 선택하는 Bottom-Up 방식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종목을 먼저 선별한 뒤 투자한다. 주요 보유 종목은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HDFC은행, ICIC은행, 인포시스, 라센 앤 토브로이다. NH-Amundi자산운용의 2대 주주인 Amundi자산운용은 하반기 투자 전략에서 “인도는 올해 6.6%, 내년 6.2%의 GDP 성장률이 전망된다”며 “강력한 성장률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진희 NH-Amundi자산운용 글로벌투자부문장은 “인도 대형주 포커스 펀드는 성장하는 인도 증시에서 안정
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 금융투자교육원은 금융투자업계 및 연기금의 글로벌 투자 역량 제고를 위해「Global Strategic Investment (뉴욕)」(10.26~11.3)을 개설하고, 8월 30일(금)까지 교육생을 모집한다. 교육생들은 뉴욕 현지의 글로벌 운용사 등을 방문하여 다양한 자산에 대한 글로벌 전망 및 투자 전략을 학습하며, 시장 리스크 요인과 최근 투자 트렌드의 변화 등을 집중적으로 탐구할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특히, PGIM, Bridgewater, Balyasny, Coatue, Third Point 등 글로벌 운용사 소속 임원들이 직접 실무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한재영 원장은 “이번 글로벌 전략투자 과정은 글로벌 투자 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연기금 뿐만 아니라 우리 금융투자회사들의 상품운용 및 전략파트 등에서 참여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329200)’ 순자산이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일 종가 기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 순자산은 5,266억원이다. 이는 국내 상장된 리츠(REITs) ETF 중 최대 규모다. 지난해 말 3,285억원이었던 순자산은 올들어 7개월여만에 2,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연초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818억원으로, 꾸준한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는 2019년 7월 상장한 국내 최초 리츠 ETF이자, 현재 국내 최대 규모 리츠 ETF다. 국내 상장된 리츠, 인프라, 부동산펀드 중 시가총액 2,000억 이상의 우량 자산을 선별해 분산투자한다. 총보수는 국내 리츠 ETF 중 최저 수준인 연 0.08%로, 투자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국내 리츠 시장 전반에 투자할 수 있다. 또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ETF’는 오피스, 호텔, 물류창고 등 리츠의 보유자산에서 발생하는 임대료를 기초로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는 월분배형 ETF다. 12일 기준 최근 1년간 지급된 주당 분배금 금액은 총 338원으로, 연환산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