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전사적 대응체계를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KISA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를 노린 스미싱·피싱·보이스 피싱 등 다양한 수법의 디지털 위협이 우려됨에 따라, 대국민 보안 공지를 통해 관련 범죄에 대한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과 합동 보도 자료를 배포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강화해 왔다.
스미싱 예방 전담기관으로서 KISA가 예상한 주요 사칭 수법은 다음과 같다.
▲스미싱: 정부24, 지역화폐 앱, 카드사 등을 사칭해 ‘대상자’, ‘쿠폰 발급처’, ‘지원금’ 등의 키워드로 문자메시지 내 악성 인터넷주소(URL) 클릭을 유도, 피싱 사이트 연결 및 악성 앱 설치
▲피싱사이트: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및 ‘사용 방법’ 등 관련 키워드 검색 시, 상단에 노출된 피싱사이트나 광고를 통해 사용자 접속 유도
▲보이스피싱: 유선으로 소비쿠폰 추가 지급 및 지급 방법 안내 등을 빙자한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 요구, 원격제어 앱 설치, 피싱사이트 접속 유도
KISA는 이에 대한 국민 행동 요령 세 가지 수칙을 공개하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스미싱 의심 문자 수신 시: KISA가 제공하는 ‘스미싱확인서비스’를 통해 ‘정상’ 메시지 여부 확인 및 문자 내 인터넷주소(URL) 절대 클릭하지 않기
▲스미싱 의심 문자 신고하기: 스마트폰 문자 수신 화면에서 ‘스팸으로 신고’, 또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내 스미싱 문자 신고
▲피해 의심 또는 발생 시: 경찰청(국번 없이 112) 또는 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으로 즉시 신고
▲민원·상담 필요시: KISA 118 사이버민원상담센터 연결(국번 없이 118)
아울러 KISA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홈페이지 집중모니터링 ▲스팸·스미싱 집중 모니터링 강화 ▲악성 URL 긴급 차단 체계 운영 ▲KISA 118 상담전화 집중 운영 등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악용한 디지털 범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한편, 스미싱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과 관련한 공식 안내 문자에는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되지 않을 예정으로 안내된바, 정부24, 지자체 또는 카드사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 외 경로를 통한 접근은 반드시 의심하고 확인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정책인 만큼, 이를 노린 디지털 민생범죄 시도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며 “KISA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