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Npay, 대표이사 박상진)가 SGI서울보증과 함께 정책금융 대출상품인 사잇돌대출에 대안신용평가모형인 ‘Npay 스코어’를 전격 도입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도입은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금융 상품에 대안신용평가모형을 적용하는 최초 사례로, Npay 스코어는 사잇돌대출 신청자의 신용평가에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활용되어 기존보다 더 많은 대출 신청자에 대한 금융 접근성 제고에 기여할 예정이다.
Npay 스코어는 7일부터 사잇돌대출을 취급하는 전 금융기관(은행・저축은행・상호금융)의 모든 온・오프라인 영업 채널 및 대출 비교 플랫폼에서 적용된다.
Npay 스코어는 기존 금융(CB) 데이터에 Npay 결제내역이나 스마트스토어 매출 데이터 등의 비금융데이터를 결합하여 Npay와 NICE평가정보가 함께 구축한 대안신용평가모형이다. 양사는 3만개의 비금융데이터 항목을 7,300만건 가명 결합하였으며, 이에 활용된 비금융데이터 규모는 업계 최다 수준이다.
지난 4월 SGI서울보증이 사잇돌 적격 대출 조건을 신용점수 하위 30%에서 50%로 개선하여 대출 공급을 늘린데 이어, 이번 Npay 스코어 도입을 통한 중·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승인율 증가로 사잇돌대출의 포용금융 확대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Npay 스코어는 현재 Npay 신용대출 비교 서비스에 제휴된 금융사 중 16개 금융사가 대출 심사 전략에 활용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 17개 금융사에 추가로 순차 적용되어, 총 33개 금융사에 적용될 예정이다.
Npay 스코어는 대출 신청자에게 유리한 방식으로만 적용되며, Npay 대출비교 서비스에서 Npay 스코어가 적용된 금융사들의 대출 실행액 중, 대출이 승인 전환되거나 기존보다 더 나은 금리・한도 조건이 제공된 비중은 전체의 32.1%*에 달한다. (*2025년 1월~3월 기준)
Npay의 금융 사업을 이끄는 조재박 Inno.Biz(이노비즈) 총괄 부사장은 “정책금융 최초로 대안신용평가모형이 적용된 사례인 만큼, Npay 스코어가 앞으로도 더 많은 금융소외계층을 포용하는 '금융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Npay 스코어가 사잇돌대출을 비롯해 더 많은 금융상품에 적용되어 민생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